반응형

2025년 4월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를 125%까지 인상한다고 전격 발표했습니다.


📌 관세 조치 핵심 요약

  • 중국: 보복 관세에 대응해 즉시 125% 고율 관세 적용
  • 한국 포함 75개국: 90일 유예, 기본 관세 10% 적용
  • 예외 품목: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
  • 유예 이유: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 완화 + 각국 협상 요청 쇄도

🇨🇳 중국 겨냥한 125% 관세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시대는 이제 끝났다.”
— 도널드 트럼프

  • 중국은 84%의 보복 관세로 응수했으나, 트럼프는 이에 125%로 재보복
  • 미·중 무역전쟁은 ‘치킨게임’ 양상으로 확전 중

🇰🇷 한국 포함 75개국은 90일 유예

“보복하지 않은 국가엔 90일간 유예를 주고, 협상 테이블로 부를 것.”
— 트럼프

  • 한국도 25% 상호 관세 대상이었지만, 이번 유예로 일시적으로 10% 적용
  • 90일 내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 수준 결정
  • 품목별 관세(25%)는 그대로 유지

📉 시장 반응은?

  • 트럼프 발표 직후 뉴욕증시 급반등
    • 다우존스 +7.9%
    • S&P500 +9.5%
    • 나스닥 +12.2%
  • 국채 시장도 안정세

🤝 한국에 미치는 영향

✅ 당장은 한숨 돌림

  • 25% 고율 관세 우려 → 10%로 유예
  • 협상 여지 확보

🚨 그러나 관건은 ‘90일’

  • 유예는 일시적 조치
  • 이후 협상 실패 시 25~50% 관세 재적용 가능성

🌏 LNG 등 에너지 외교에 기회

  • 베선트 재무장관:

    “한국은 알래스카 LNG 사업에 자금과 수입 의사를 보이고 있다”


🧭 향후 주요 체크포인트

항목 내용
유예 종료 시점 2025년 7월 초 예상
한국의 대응 산업부·외교부 협상 전략 필요
EU의 움직임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관세 예고 (4월 15일부터)
미국 내 분위기 대선 정국과 맞물려 통상 압박 지속 가능성

✍️ 마무리 코멘트

이번 조치는 트럼프식 통상 외교의 전형입니다.
강공으로 시작하되, 협상 여지를 두고 판을 키우는 전략이죠.

한국 입장에선 지금이 중요한 '외교·경제 양면 협상력의 시험대'입니다.
90일,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기민한 외교적 대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 같이 보면 좋은 포스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