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


🔹 주요 내용 요약

2029년부터 취업자 수 감소 → 2033년까지 82만 1천 명의 추가 인력 필요
2030년부터 경제활동인구 감소 → 노동공급 위축
향후 10년(20232033년) 경제활동인구 증가폭, 과거 10년 대비 810% 수준
산업별, 직업별 변화 전망
여성·청년·고령자의 노동시장 유입 확대 및 맞춤형 정책 필요


🔹 2029년부터 취업자 감소세로 전환

📌 취업자 수 변화

  • 2003~2013년: 304만 9천 명 증가
  • 2013~2023년: 311만 6천 명 증가
  • 2023~2033년 예상: 31만 2천 명 증가 (과거 10년 대비 10% 수준)
  • 2028년: 2,881만 3천 명(최고점)
  • 2029년 이후: 연평균 1만 4천 명 감소

📌 경제활동인구 변화

  • 2003~2013년: 306만 5천 명 증가
  • 2013~2023년: 309만 5천 명 증가
  • 2023~2033년 예상: 24만 8천 명 증가 (과거 대비 8% 수준)
  • 2030년부터 감소 시작

📌 고용률 전망 (15세 이상)

  • 2023년: 62.6%
  • 2033년: 61.7% (-0.9%p)

📌 추가 필요 인력

  • 2033년까지 82만 1천 명 부족
    • 목표 경제성장률 1.9% 달성을 위한 필요 인력: 2,954만 9천 명
    • 예상 공급 인력: 2,872만 8천 명
    • 연평균 부족 인력:
      • 2023~2028년: 5만 8천 명
      • 2028~2033년: 10만 7천 명

🔹 산업별·직업별 전망

📌 취업자 증가 업종
보건·사회복지 업종 →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출판·소프트웨어 개발 업종 → 디지털 전환 및 기술혁신

📌 취업자 감소 업종
소매업·음식·주점업·도매 및 상품중개업 → 온라인화·플랫폼화에 따른 감소

📌 직업별 전망
증가 직업군:

  • 돌봄·보건·개인서비스직
  • 보건·사회복지직
  • 공학·정보통신 전문가

감소 직업군:

  • 매장판매직 (온라인화 영향)
  • 장치·기계조작직 (자동화 영향)
  • 교육전문가 (학령인구 감소 영향)

🔹 인력 부족 대응책 필요

📌 청년·여성·고령자 노동시장 유입 촉진
📌 업종·직종별 변화에 맞춘 맞춤형 정책
📌 기술 변화 대응을 통한 생산성 향상
📌 AI·자동화 기술 활용해 노동력 보완

📌 고용정보원 관계자 발언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은 계층(여성·청년·고령자)에 대한 유인책 제공이 필수적이다."*
*"기술 변화에 적시에 대응해야 노동력 부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 결론

2029년부터 취업자 감소 → 노동력 공급 위축 심화
2033년까지 82만 명 추가 인력 필요 → 맞춤형 정책 필수
보건·IT·돌봄 등 일부 산업 성장 예상, 소매·제조업 인력 감소 전망
노동시장 변화 대응책 마련이 시급 → 청년·여성·고령자 참여 확대 및 기술 활용 필요

📢 향후 한국 경제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비한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